자바로 구현하는 어댑터 패턴: 인터페이스 호환성과 기능 확장
어댑터 패턴 소개
어댑터 패턴(Adapter Pattern)은 객체지향 디자인 패턴 중 하나로, 호환되지 않는 두 개의 인터페이스를 연결해주는 중간 매개체(어댑터)를 만들어서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해줍니다. 이 패턴은 기존 코드의 수정 없이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거나, 기능을 확장하는 데에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어댑터 패턴은 주로 다음과 같은 경우에 사용됩니다.
- 이미 존재하는 클래스를 다른 인터페이스에 적용해야 하는 경우
- 이미 존재하는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확장해야 하는 경우
- 두 개의 클래스를 연결해야 하는 경우
어댑터 패턴은 구조 패턴(Structural Pattern) 중 하나로, 다음과 같은 요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Target: 클라이언트가 사용할 목표 인터페이스입니다.
- Adapter: Target 인터페이스와 Adaptee 인터페이스 사이의 매개체 역할을 수행합니다.
- Adaptee: 이미 존재하는 인터페이스 또는 클래스입니다.
어댑터 패턴을 사용하면, 기존 코드를 수정하지 않고도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거나 기능을 확장할 수 있습니다. 이는 코드의 재사용성을 높이고,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킵니다.
인터페이스 호환성 확보
어댑터 패턴은 두 개의 인터페이스를 연결해주는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인터페이스 호환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객체 어댑터 패턴
객체 어댑터 패턴(Object Adapter Pattern)은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클래스에 어댑터를 추가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다중 상속을 지원하지 않는 자바에서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ublic interface Target {
void request();
}
public class Adaptee {
void specificRequest() {
System.out.println("Adaptee specific request");
}
}
public class Adapter implements Target {
private Adaptee adaptee;
public Adapter(Adaptee adaptee) {
this.adaptee = adaptee;
}
@Override
public void request() {
adaptee.specificRequest();
}
}
public class Clien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Adaptee adaptee = new Adaptee();
Target target = new Adapter(adaptee);
target.request();
}
}
위 코드에서 Adaptee 클래스는 이미 존재하는 클래스이고, Target 인터페이스는 클라이언트가 사용하고자 하는 인터페이스입니다. Adapter 클래스는 Target 인터페이스와 Adaptee 클래스 사이의 매개체 역할을 수행합니다.
클래스 어댑터 패턴
클래스 어댑터 패턴(Class Adapter Pattern)은 인터페이스와 클래스를 동시에 상속받아서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다중 상속을 지원하는 언어에서 사용됩니다.
public interface Target {
void request();
}
public class Adaptee {
void specificRequest() {
System.out.println("Adaptee specific request");
}
}
public class Adapter extends Adaptee implements Target {
@Override
public void request() {
specificRequest();
}
}
public class Clien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Target target = new Adapter();
target.request();
}
}
위 코드에서 Adapter 클래스는 Target 인터페이스와 Adaptee 클래스를 동시에 상속받아서 구현됩니다.
기능 확장을 위한 구현 방법
어댑터 패턴은 기능 확장을 위한 구현 방법으로도 사용됩니다. 이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어댑터에서 기능 추가
어댑터 클래스에서 기능을 추가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public interface Target {
void request();
}
public class Adaptee {
void specificRequest() {
System.out.println("Adaptee specific request");
}
}
public class Adapter implements Target {
private Adaptee adaptee;
public Adapter(Adaptee adaptee) {
this.adaptee = adaptee;
}
@Override
public void request() {
adaptee.specificRequest();
System.out.println("Adapter added request");
}
}
public class Clien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Adaptee adaptee = new Adaptee();
Target target = new Adapter(adaptee);
target.request();
}
}
위 코드에서 Adapter 클래스의 request() 메서드에서 "Adapter added request"를 출력하는 코드가 추가되었습니다.
Target에서 기능 추가
Target 인터페이스에서 기능을 추가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public interface Target {
void request();
default void addedRequest() {
System.out.println("Target added request");
}
}
public class Adaptee {
void specificRequest() {
System.out.println("Adaptee specific request");
}
}
public class Adapter implements Target {
private Adaptee adaptee;
public Adapter(Adaptee adaptee) {
this.adaptee = adaptee;
}
@Override
public void request() {
adaptee.specificRequest();
addedRequest();
}
}
public class Clien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Adaptee adaptee = new Adaptee();
Target target = new Adapter(adaptee);
target.request();
}
}
위 코드에서 Target 인터페이스에 addedRequest() 메서드가 추가되었습니다.
Adaptee에서 기능 추가
Adaptee 클래스에서 기능을 추가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public interface Target {
void request();
}
public class Adaptee {
void specificRequest() {
System.out.println("Adaptee specific request");
}
void addedRequest() {
System.out.println("Adaptee added request");
}
}
public class Adapter implements Target {
private Adaptee adaptee;
public Adapter(Adaptee adaptee) {
this.adaptee = adaptee;
}
@Override
public void request() {
adaptee.specificRequest();
adaptee.addedRequest();
}
}
public class Clien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Adaptee adaptee = new Adaptee();
Target target = new Adapter(adaptee);
target.request();
}
}
위 코드에서 Adaptee 클래스에 addedRequest() 메서드가 추가되었습니다.
자바에서의 어댑터 패턴 활용 예시
자바에서 어댑터 패턴을 활용하는 예시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JDBC 드라이버
JDBC 드라이버는 데이터베이스와 자바 프로그램 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이 때, 데이터베이스마다 다른 인터페이스를 갖고 있기 때문에, JDBC 드라이버에서는 각각의 데이터베이스에 맞는 어댑터 클래스를 제공합니다.
Swing GUI 프로그래밍
Swing은 자바에서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위한 라이브러리입니다. Swing에서는 다양한 컴포넌트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 컴포넌트들은 모두 JComponent 클래스를 상속받고 있습니다. 이 때, 컴포넌트들의 인터페이스는 다양하게 구현되어 있기 때문에, 어댑터 클래스를 사용해서 서로 다른 컴포넌트들을 연결할 수 있습니다.
Spring Framework
Spring Framework는 자바 기반의 오픈소스 프레임워크입니다. Spring Framework에서는 다양한 모듈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 모듈들은 모두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이 때, 모듈 간의 인터페이스 호환성을 위해서 어댑터 클래스를 사용합니다.
결론
어댑터 패턴은 다른 인터페이스 간의 호환성을 확보하고, 기능을 확장하는 데에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자바에서도 다양한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에서 어댑터 패턴을 활용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코드의 재사용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자바 프로그래머라면 어댑터 패턴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입니다.
'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바 디자인 패턴으로 보안 강화: 데이터 암호화 (0) | 2023.06.13 |
---|---|
자바 디자인 패턴 중 싱글톤 패턴: 유일한 인스턴스 생성과 활용 (0) | 2023.06.13 |
자바 디자인 패턴 중 프록시 패턴: 객체 접근 제어하기 (0) | 2023.06.13 |
스프링 클라우드 스트림과 카프카를 활용한 이벤트 기반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0) | 2023.06.11 |
스프링 Data JDBC를 활용한 데이터베이스 액세스 최적화 (0) | 2023.06.11 |